77/F 정기검진 내시경. 식도 portion


white plaque 가 다수 보이는데  서로  confluent 하지 않음.


erythema나 ulceration 없이 wash out 가능.





내시경 전에 약을 먹었을 경우에 식도에 약이 남아있는 경우 위와 같이 보일 수 있으며, 칸디다증과 다르다는 것은 많은 내시경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있으나 어떠한 병태인지 처음 보면 혼란 스러울 수 있음.



내시경 전에 위장약을 먹은 식도

Posted by preddy
,


clindamicin의 경우 내성이 잘 생김.

Posted by preddy
,

Vitamin C supplementation in kidney failure: effect on uraemic symptoms 

Abstract

Background. Vitamin C (ascorbate) deficiency and symptoms consistent with deficiency (fatigue, myalgia, dyspnoea, gingivitis, cardiovascular instability and depression) are common in patients with renal failu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supplementation with ascorbate in patients with severe renal failure improved symptoms or cardiovascular stability, or was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Methods. The study was a 3-month,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of ascorbic acid 250 mg or matching placebo given thrice weekly. Subjects were clinically stable and either received conventional dialysis or had a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of <20 mL/mi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Kidney Dialysis Quality of Life-Short Form (KDQOL-SF) symptom subscale, and the study was 80% powered to detect a change of 10 in the KDQOL-SF.

Results. Ninety-nine subjects were randomized, and ascorbate deficiency was present in 40% at baseline. Mean symptom scores at follow-up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P-value = 0.19). There was a trend to slightly worse nausea scores in the ascorbate group after controlling for the level of baseline nausea (P = 0.09), and there was no impact on cardiovascular stability. Compliance appeared adequate at 91%, and deficiency was corrected in most (85%) of the subjects in the activ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ascorbate supplementation does not improve symptoms or cardiovascular stability in those with severe renal impairment, but is associated with a trend towards worse nausea.


uremia 해서 발생하는 구역감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지만 cardiovascular 위험성을 줄여주거나 하지는 않는다.


신부전 환자의 경우 항상 약물사용 및 음식 제한 등을 할 필요가 있으며, Vit C 경우에도 많이 먹게 될 경우 소변량 부족으로 요로결석이나 문제가 될 수 있어 1일 제한 100~150mg.



상기 내용으로 의학적 시술 및 처방을 결정 시킬 수 없습니다. 관련 paper 저작권 문제시 댓글 달아 주시고,  comment 는 불펌하실수 없습니다.

Posted by preddy
,

#1 이마필러, 관자필러 후 발생할 수 있는 지속적인 편두통.

HIFU(더블로 슈링크) 이후 발생하는 지속적인 편두통.


측면은 시술 중에도 신경자극이 자주 되는 곳, 찌릿하고 뻐치는 통증

시술 후에도 통증 호소. 통증은 편측, nerve 분지에 따라서 발생.

대부분 2주안에 괜찮아짐. 4주 이후 좋아지는 case하나. 3달동안 통증 있는 경우 둘. 



혈관문제나 영구신경 손상이 아닐 수 있음을 강조. 


nerve 위치 확인 후 lidocane block 했을 경우 통증 완화.


high oral steroid medicine(1mg/kg/day) 1주일 이내 1회

가바펜틴, NSAIDs, 트라셋, steroid 증상 호전 시 까지.




#2 HIFU 이후 입 돌아감, 입술 마비.


high oral steroid medicine(1mg/kg/day) 1주일 이내 시행하며, 점차 용량을 줄인다. 1주일 이후에는 의미 없음.

가바펜틴, NSAIDs, 트라셋, steroid 증상 호전 시 까지. 



상기 내용을 의료 시술로 적용할 수 없으며, 불펌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함.


Posted by preddy
,
1.정의 :고산병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이동하였을 때 산소가 희박해지면서 나타나는 신체의 급성반응으로 일단 걸리면 방법이 없고 고도를 낮추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해주어야 합니다.

2.증상
(1)해발 2,500m 이상부터 두통 어지러움 불면 구토 답답함 등의 증상이 나타남
(2)급성고산병(AMS, Acute Mountain Sickness) : 2,500m에서 25% 발병율, 숙취같은 증상(두통, 피로, 입맛없음, 구역, 구토
(3)고도뇌부종(HACE, High Altitude Cerebral Edema) : AMS 에서 진행, 대개 폐부종과 동반, 정신혼탁(drowsiness confuseion) 비틀거림(운동실조 ataxia) , ataxia 발생 후 방치하면 24시간내 사망하고 하산이 유일한 치료
(4)고도폐부종(HAPE, High Altitude Pulmonary Edema) :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AMS 나 뇌부종과 동반되기도 함, 4300m 이상에서 1% 빈도로 나타남 ,호흡곤란 헐떡임 쇠약 기침 등, 산소투여와 하산이 치료

3.치료 및 예방
(1)하루 600m 이내로 등반  
(2)금연/금주
(3)물을 많이 마심
(4)과식이나 소화 안되는 음식 주의
(5)비아그라/시알리스는 폐순환의 혈관을 이완시켜 폐동맥 혈압 증가 등으로 인한 저산소증을 억제
1)비아그라 20~50mg bid ~ tid or 시알리스10mg bid or 팔팔츄정25mg bid (아침식 후&저녁취침 전)
->중증고산병인 폐부종치료에 폐동맥을 확장시켜 도움이 된다
2)아세타졸 or 다이아막스정(Aectazolamide 250mg)
가)고산병 예방 효과 인증된 유일한 약 (예방 및 치료약)
나)예방목적 시 등반 첫날부터 복용하고 고산에서 2일까지 복용(계속 고도 상승시 연장)
다)5mg/Kg/day (if 60Kg --> 300mg  더이상 체중이 나가도 하루에 125mg씩 2회 복용)
라)예방(125mg), 치료(250mg) 
3)기넥신에프정80mg or 타나민80mg bid (혈액순환 개선제)
4)타이레놀 아스피린 : 경한 고산증 약한 두통에 진통효과(아스피린은 20세이하에서 라이증후군 유발 가능성으로 금기)
5)스테로이드 : Dexamethasone :4mg tid 중등도 고산병 증상에 다이아막스 대신 또는 함께 복용

* 고산병 예방진료는 비급여!!!!!


(상기내용은 관련논문 및 관련학회 내용을 참고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무단배포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의료시술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

Posted by preddy
,